바로가기 메뉴
주메뉴 바로가기
  • KHU Home
  • 발전기금
  • 인포21
  • Webmail

성과 관리

사업단 진행상황
HOME 사업단 진행상황

서브 컨텐츠

통섭적 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 교과과정 구축 중
  • 공통 교과과목 개설
  • 팀티칭 과목 및 신설 과목 개설
관련 추진비전 교과과정
비전 1: 기후위기 진단
역량 강화
비전 2: 기후위기 대응
역량 강화
비전 3: 기후 리터러시
확산 역량 강화
구분 교과목
공통필수 지리적관점
공통선택 기후리터러시와도시데이터, 기후변화와지도의사소통
비전 달성을 위한 전문화된 교과과정 구축 중

다중분석 방법론 적용을 통한 기후위기 진단 역량 강화

구분 교과목
융합 기초 기후과학, 기후변화와감염병,재난데이터활용
융합 응용 기후변화분석, 기후변화와시뮬레이션모델링, 오픈소스와재난정보분석, 도시데이터분석방법론
  • 기후과학: 기후의 물리적, 동적 특성을 이해하고, 기후 인자와 대기 및 지구권역 간의 상호작용을 학습함. 기후의 복잡한 동작 원리를 학문적으로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음.
  • 기후변화와감염병: 기후변화가 감염병의 공간적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 모기 매개 질병과 기후변화의 관계를 이해하고, 발생 장소 변화와 대응 방안을 탐구함.
  • 재난데이터활용: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을 분석하기 위한 공간 및 비공간 데이터를 살펴보고 구축하는 방법을 학습함. 기상청 기후 데이터와 국가 재난 관리 데이터를 포함해 다양한 데이터를 다루며,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활용 방법도 익힘.
  • 기후변화분석: 전구 시공간 격자자료를 활용하여 기후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을 학습함. 상관분석, 합성편차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통해 기후변화의 패턴과 영향을 이해하고 분석 능력을 키울 수 있음.
  • 기후변화와시뮬레이션모델링: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적 현상(예: 동물 이주, 감염병 확산 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방법을 배움. 공간 시뮬레이션 모델링 기법을 통해 이러한 현상의 발생과 영향을 분석하는 역량을 개발함.
  • 오픈소스와재난정보분석: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의 발생과 피해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를 학습함. 파이썬을 활용해 분석 도구를 개발하고,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재난정보 분석의 기초와 응용 방법을 익힘.
  • 도시데이터분석방법론: 도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을 교육함. 인구, 교통, 환경 등 다양한 도시 관련 데이터를 정제하고 분석하며, 공간통계와 머신러닝을 활용해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기를 수 있음.

거버넌스 조성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 역량 강화

구분 교과목
융합 기초 기후변화의정치, 정책수단론,정치생태학
융합 응용 팬데믹-재난재해와정치,에너지전환과사회,정부성과관리론,감각과물질의사회학
  • 기후변화의정치: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각국의 갈등과 도전 과제를 분석함. 다양한 사례를 통해 국가, 산업, 계층 간 갈등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저탄소 사회 전환의 기회와 위기를 탐구함.
  • 정책수단론: 정부의 정책 집행에 사용되는 다양한 수단을 학습함. 규제, 유인, 설득 등 다양한 정책 도구를 연구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수단 조합 설계에 중점을 둠.
  • 정치생태학: 환경문제를 자연과학적, 사회문화적, 정책적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함. 공간적 관점에서 환경문제를 분석하고, 사회와 정책 요인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
  • 팬데믹-재난재해와정치: 글로벌 재난 동안 정부의 역할과 대응을 분석함. 백신 의무화와 정부 정책의 정당성, 민주주의와의 양립 가능성을 다루며, 코로나 팬데믹 사례를 통해 정부 대응을 평가함.
  • 에너지전환과사회: 에너지 전환이 사회정치적 문제와 연결되는 방식을 분석함. RE100 등 정책의 여파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이해하고, 지역별 정치·경제적 변화를 탐구함.
  • 정부성과관리론: 정부 정책과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학습함. 성과지표 선정, 성과관리 시스템 이해, 성과 측정과 보상 등을 다루며, 기후변화 정책 성과관리 프로그램 설계도 포함함.
  • 감각과물질의사회학: 사회과학과 감각학, 물질문화연구를 연결하여 새로운 개념을 탐구함. 신재생에너지와 전염병 갈등 사례를 통해 도덕, 감각 권력, 물질정치 등을 적용함.

통섭 플랫폼 구축 및 실증을 통한 기후 리터러시 역량 강화

구분 교과목
융합 기초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지역기반기후변화대응방법론, 환경커뮤니케이션,정책사회학
융합 응용 기후변화와지역사회실행연구, 기후데이터와지리적인공지능, 디지털트윈과기후변화, 기후·재난정보네트워크분석
  • 지속가능한도시개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반영한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의 필요성을 탐구함. 친환경 인프라와 에너지 효율성 등 도시 설계 전략을 학습하고, 기후변화 관련 정책 발전 제안을 함.
  • 지역기반기후변화대응방법론: 국내외 사례를 통해 기후변화의 지역적 영향과 대응 방식을 규명함. 문서 분석과 현지 조사를 통해 기후변화와 인문지리 현상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한 지역에 대한 사례 연구를 수행함.
  • 환경커뮤니케이션: 환경 커뮤니케이션의 기원과 미디어의 역할을 탐구함. 기후 변화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미디어를 통한 환경 캠페인의 효과를 분석하며, 환경 이슈와 관련된 언론 보도를 연구함.
  • 정책사회학: 정책을 분석하는 네 가지 사회학적 접근법을 학습함. 이해관계, 제도적, 해석적, 물질적 접근법을 통해 다양한 환경 및 위험 정책 사례를 분석하며, 한국 기후변화 정책을 사례로 적용함.
  • 기후변화와지역사회실행연구: 기후변화가 지역사회 및 구성원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대응 방안을 탐색함. 사례 지역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하고, 지역 구성원들과 소통하여 문제를 해결함.
  • 기후데이터와지리적인공지능: 지리적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후·기상 데이터 분석 방법을 설명함. 도시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해 기후 데이터 추정 방법을 학습하고, 예측 및 정책 수립 역량을 배양함.
  • 디지털트윈과기후변화: 디지털 트윈을 통해 기후변화를 시각화하고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을 학습함. 디지털 트윈 제작 요소와 기후공간자료의 상호작용 지도를 다루며, 초고해상도 공간자료의 습득과 처리 방법을 익힘.
  • 기후·재난정보네트워크분석: 극한 기상 현상과 복합재난 시대의 정보 흐름을 분석함. 디지털 비정형 데이터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의사소통 구조와 오정보 문제를 다루며, 정보 흐름과 디지털 플랫폼 활용 방안을 제시함.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경희대학교 스페이스21 이과대학 103호 Tel. 02- 961-0231 E-mail: climates@khu.ac.kr COPYRIGHT BY Fostering Competency in CLIMATES (Climate Literacy Informed Multidisciplinary Analytics and
Transformative Education in Social scien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