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 컨텐츠
통섭적 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 교과과정 구축 중
- 공통 교과과목 개설
- 팀티칭 과목 및 신설 과목 개설
관련 추진비전 | 교과과정 | |||
---|---|---|---|---|
비전 1: 기후위기 진단 역량 강화 |
비전 2: 기후위기 대응 역량 강화 |
비전 3: 기후 리터러시 확산 역량 강화 |
구분 | 교과목 |
○ | ○ | ○ | 공통필수 | 지리적관점 |
공통선택 | 기후리터러시와도시데이터, 기후변화와지도의사소통 |

비전 달성을 위한 전문화된 교과과정 구축 중
다중분석 방법론 적용을 통한 기후위기 진단 역량 강화
구분 | 교과목 |
---|---|
융합 기초 | 기후과학, 기후변화와감염병,재난데이터활용 |
융합 응용 | 기후변화분석, 기후변화와시뮬레이션모델링, 오픈소스와재난정보분석, 도시데이터분석방법론 |
- 기후과학: 기후의 물리적, 동적 특성을 이해하고, 기후 인자와 대기 및 지구권역 간의 상호작용을 학습함. 기후의 복잡한 동작 원리를 학문적으로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음.
- 기후변화와감염병: 기후변화가 감염병의 공간적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 모기 매개 질병과 기후변화의 관계를 이해하고, 발생 장소 변화와 대응 방안을 탐구함.
- 재난데이터활용: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을 분석하기 위한 공간 및 비공간 데이터를 살펴보고 구축하는 방법을 학습함. 기상청 기후 데이터와 국가 재난 관리 데이터를 포함해 다양한 데이터를 다루며,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활용 방법도 익힘.
- 기후변화분석: 전구 시공간 격자자료를 활용하여 기후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법을 학습함. 상관분석, 합성편차분석, 선형회귀분석 등을 통해 기후변화의 패턴과 영향을 이해하고 분석 능력을 키울 수 있음.
- 기후변화와시뮬레이션모델링: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적 현상(예: 동물 이주, 감염병 확산 등)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방법을 배움. 공간 시뮬레이션 모델링 기법을 통해 이러한 현상의 발생과 영향을 분석하는 역량을 개발함.
- 오픈소스와재난정보분석: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의 발생과 피해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를 학습함. 파이썬을 활용해 분석 도구를 개발하고,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재난정보 분석의 기초와 응용 방법을 익힘.
- 도시데이터분석방법론: 도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을 교육함. 인구, 교통, 환경 등 다양한 도시 관련 데이터를 정제하고 분석하며, 공간통계와 머신러닝을 활용해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기를 수 있음.
거버넌스 조성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 역량 강화
구분 | 교과목 |
---|---|
융합 기초 | 기후변화의정치, 정책수단론,정치생태학 |
융합 응용 | 팬데믹-재난재해와정치,에너지전환과사회,정부성과관리론,감각과물질의사회학 |
- 기후변화의정치: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각국의 갈등과 도전 과제를 분석함. 다양한 사례를 통해 국가, 산업, 계층 간 갈등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모색하며, 저탄소 사회 전환의 기회와 위기를 탐구함.
- 정책수단론: 정부의 정책 집행에 사용되는 다양한 수단을 학습함. 규제, 유인, 설득 등 다양한 정책 도구를 연구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수단 조합 설계에 중점을 둠.
- 정치생태학: 환경문제를 자연과학적, 사회문화적, 정책적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함. 공간적 관점에서 환경문제를 분석하고, 사회와 정책 요인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
- 팬데믹-재난재해와정치: 글로벌 재난 동안 정부의 역할과 대응을 분석함. 백신 의무화와 정부 정책의 정당성, 민주주의와의 양립 가능성을 다루며, 코로나 팬데믹 사례를 통해 정부 대응을 평가함.
- 에너지전환과사회: 에너지 전환이 사회정치적 문제와 연결되는 방식을 분석함. RE100 등 정책의 여파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이해하고, 지역별 정치·경제적 변화를 탐구함.
- 정부성과관리론: 정부 정책과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학습함. 성과지표 선정, 성과관리 시스템 이해, 성과 측정과 보상 등을 다루며, 기후변화 정책 성과관리 프로그램 설계도 포함함.
- 감각과물질의사회학: 사회과학과 감각학, 물질문화연구를 연결하여 새로운 개념을 탐구함. 신재생에너지와 전염병 갈등 사례를 통해 도덕, 감각 권력, 물질정치 등을 적용함.
통섭 플랫폼 구축 및 실증을 통한 기후 리터러시 역량 강화
구분 | 교과목 |
---|---|
융합 기초 | 지속가능한도시개발, 지역기반기후변화대응방법론, 환경커뮤니케이션,정책사회학 |
융합 응용 | 기후변화와지역사회실행연구, 기후데이터와지리적인공지능, 디지털트윈과기후변화, 기후·재난정보네트워크분석 |
- 지속가능한도시개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반영한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의 필요성을 탐구함. 친환경 인프라와 에너지 효율성 등 도시 설계 전략을 학습하고, 기후변화 관련 정책 발전 제안을 함.
- 지역기반기후변화대응방법론: 국내외 사례를 통해 기후변화의 지역적 영향과 대응 방식을 규명함. 문서 분석과 현지 조사를 통해 기후변화와 인문지리 현상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한 지역에 대한 사례 연구를 수행함.
- 환경커뮤니케이션: 환경 커뮤니케이션의 기원과 미디어의 역할을 탐구함. 기후 변화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미디어를 통한 환경 캠페인의 효과를 분석하며, 환경 이슈와 관련된 언론 보도를 연구함.
- 정책사회학: 정책을 분석하는 네 가지 사회학적 접근법을 학습함. 이해관계, 제도적, 해석적, 물질적 접근법을 통해 다양한 환경 및 위험 정책 사례를 분석하며, 한국 기후변화 정책을 사례로 적용함.
- 기후변화와지역사회실행연구: 기후변화가 지역사회 및 구성원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대응 방안을 탐색함. 사례 지역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하고, 지역 구성원들과 소통하여 문제를 해결함.
- 기후데이터와지리적인공지능: 지리적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후·기상 데이터 분석 방법을 설명함. 도시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이용해 기후 데이터 추정 방법을 학습하고, 예측 및 정책 수립 역량을 배양함.
- 디지털트윈과기후변화: 디지털 트윈을 통해 기후변화를 시각화하고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을 학습함. 디지털 트윈 제작 요소와 기후공간자료의 상호작용 지도를 다루며, 초고해상도 공간자료의 습득과 처리 방법을 익힘.
- 기후·재난정보네트워크분석: 극한 기상 현상과 복합재난 시대의 정보 흐름을 분석함. 디지털 비정형 데이터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의사소통 구조와 오정보 문제를 다루며, 정보 흐름과 디지털 플랫폼 활용 방안을 제시함.